※ 수집 대상 시기:2010년~2011년

※ <문서 제목>을 누르시면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 자민당(1955년 창당) 집권 시기:1955년~1993년, 1996년~2009년, 2012년~현재(2025년)

2010년대

관리번호생산일자제목요지출처
GJ001120100709한일관계에 큰 화근을 남긴 센고쿠 관방장관의 발언민주당의 센고쿠 요시토(仙谷由人) 관방장관이 2010년   7월 7일, “한일 전후 보상은 한일 기본 조약의 규정으로는 불충분하며, 정부로서 새로운 개인 보상을 검토한다”는 취지의 기자 회견을   했다. 이 발언은 그동안의 경위를 무시한 폭언으로 한일관계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 확실하다. 무라야마 내각 때 사회당 의원들로부터 같은 문제   제기가 있어 전후 50년 문제 프로젝트 팀에서 논의했다. 양국이 타결한 한일기본조약을 문제 삼으면 큰일 난다며 논란은 종식됐다. 이번 건도   한국인의 기대를 부추길 만큼 부추기고 실망시킬 것이다. 민주당의 숨은 정책으로 ‘외국인 지방참정권 부여 법안’, ‘인권옹호법안’, ‘종군   위안부법안’ 등이 있다.자민당
GJ001220111014국익에 따른 한일 관계 개선을 요구하는 결의자민당 정무조사회의 '외교부회, 외교·경제연계조사회,   영토에 관한 특명위원회 합동회의'에서 한일 외무장관 회담, 노다 총리 방한, 위안부 문제의 경위에 대해 정부로부터의 설명을 요구했고 이들에   관해서 논의를 했다.자민당
GJ001420120515미국 뉴저지주 이른바 위안부 기념비 및 서울시 평화의 비, 소녀상, 위안부박물관 결의2012년 5월 15일 자민당 정무조사회의 ‘영토에 관한   특명위원회’가 모임을 갖고 미국 뉴저지주의 위안부 기념비, 서울시의 평화의 소녀상, 위안부 박물관에 관한 항의 결의를 한 내용.자민당
GJ001520120517미국 뉴저지주 이른바 위안부 기념비 및 서울시 평화의 비, 소녀상, 위안부박물관 결의자민당의 영토에 관한 특명 위원회는 문서 GJ0014의   결의안을 관방장관, 외무성장관에게 제출했다는 내용.자민당
GJ001920130514이시바 시게루 간사장 기자회견(임원회 후)-하시모토 발언에 대해1일본의 보수야당 일본유신회 대표(당시) 하시모토 토오루의   발언-전쟁터에서 위안부는 병사들을 위해 필요했다-에 대한 자민당 간사장(당시) 이시바 시게루의 의견.자민당
GJ002020130520이시바 시게루 간사장 기자회견(임원회 후)-하시모토 발언에 대해2하시모토 일본유신회 대표(당시)가 전쟁터에서 위안부는   필요했다고 발언해 국제적으로도 큰 문제가 되었다. 이로 인해 일본국내 정치에도 영향이 있었다. 일본유신회가 참의원선거에서 불리한 입장이   되었다 내용.자민당
GJ002320140213한국에 의한 위안부만화기획전 논의. 당 외교관계 합동회의한국정부 주도로 2014년 2월 프랑스앵글렘국제만화제에서   위안부만화기획전이 개최된 데 대해 자민당의 당외교관계합동회의가 열렸고 국제홍보를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는 내용.자민당
GJ002620140623이시바 시게루 간사장 기자회견(임원회·임원 연락회 후)고노담화에 관한 일본정부의 검증결과가 나와 이에 대한   질의응답자민당
GJ002820140805아사히신문의 종군 위안부 기사에 관한 이시바 간사장 기자 회견2014년 8월 5일 아사히신문이 위안부 문제에 관한   자사의 보도 중 일부에서 사실관계가 틀렸다는 검증 기사를 실었다. 이에 대한 자민당 이시바 간사장과 기자들의 질의응답.자민당
GJ003120141016이나다 도모미 정조회장 기자회견아사히신문의 위안부 문제 오보 보도로 자민당 내에   특명위원회가 만들어졌다. 이 위원회에서 하는 일과 인선에 대한 질의응답.자민당
GJ003220141030이나다 정조회장 "이유없는 비난에 단호히 반박을 하자", 위안부 오보를 듣고 특명위가 첫 회합위안부에 관한 아사히신문의 오보 인정을 계기로 자민당이   정무조사회 산하에 ‘일본의 명예와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특명위원회’를 설치하고 2014년 10월 30일 첫 회의를 갖었다. 이나다   정조회장에 의한 회의 보고자민당
GJ003320141113국내외 교과서의 위안부 기술 등에 대해 설명을 받는다. 당 일본의 명예와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특명위원회자민당의 ‘일본의 명예와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특명위원회’는 11월 13일 국내외 교과서의 위안부 기술 현황과 한국에서의 위안부문제 관련 소송의 판결 등에 대해 관계 부처로부터 설명을   들었고 대책을 논의했다. 이에 대한 보고.자민당
GJ003620150326이나다 도모미 정무조사회장 기자 회견 -한국군 위안소에 대해-베트남전쟁 당시 한국군이 베트남 여성들로 현지에 위안소를   만들었다는 보도와 관련해 자민당 정조회장에 대한 질문자민당
GJ003720150728일본의 명예와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제언지만당의 특명위원회가 낸 제언이다. 위안부문제로 일본의   명예가 훼손되었다. 특히 아사히신문의 오보로 일본의 명예와 신뢰가 훼손되었으며 이에 대한 인식과 앞으로 명예와 신뢰회복을 위해 일본이 해야   할 것들을 자민당차원에서 제언한 내용자민당
GJ003820150729위안부문제 관련연표자민당이 1945년 8월15일부터 2014년 12월까지의   위안부문제 연표를 정리하여 공표자민당
GJ003920150730'일본의 명예와 신뢰 회복을 위한 제언'을 정리해 아베 총리에게 제출위안부문제에 대한 자민당차원의 제언을 정리해 특명위원회가   아베총리(당시)에게 제언서를 제출자민당
GJ004020150730이나다 도모미 정무조사회장 기자위안부문제에 관한 제언서를 자민당의 특명위원회가 정리해   아베총리에 제출했다는 이야기와 크마라스와미 보고서 등에 대한 반론을 영문으로 작성하여 세계에 홍보한다는 내용자민당
GJ005220160126한일 외무장관회담에서의 위안부문제와 관련된 합의에 관한 결의2016년 1월 26일 자민당이 2015년 12월 28일의   한일위안부 합의에 대해 환영하면서 현안을 논의해 정부에 대한 요구사항을 작성한 내용자민당
GJ006420170120제193회 국회에서의 기시다 외무장관 외교연설2017년 1월 17일에 실시된 기시다 외무장관의   외교연설. 한국 문제로는 부산총영사관 앞에 설치된 소녀상문제, 일본의 올바른 모습을 홍보하는 재팬하우스 등에 대해 연설자민당
GJ007220170510당정연락회의 후 니카이 도시히로 간사장 기자회견자민당 니카이 간사장의 기자회견. 한국에서 새로운   대통령으로 문재인씨가 당선되었고 위안부문제로 재협상하고 싶다고 말하고 있는 문제에 대한 질의응답자민당
GJ007520171117임원 연락회 후 니카이 간사장 기자회견샌프란시스코 시의회가 위안부상을 수용한다는 결의를   만장일치로 채택한데 대해 자민당 으로서 어떻게 대응하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대한 간자장의 답변자민당
GJ007920180122제196회 국회 고노 외무상의 외교 연설2018년 1월 22일 고노외상의 외교연설 중 위안부합의에   관한 부분자민당
GJ009320190218임원회 후 니카이 간사장 기자회견문희상 국회의장의 발언이 무례하다는 일본 측 항의에 대해   문희상 의장이 적반하장이라고 발언한데 대한 기자들의 질의자민당

2020년대

관리번호생산일자제목요지출처
GJ010720210118제204회 국회   모테기 외무장관의 외교연설모테기 일본외상이 2021년 1월18일 외교연설을 한 내용   중 한국에 대해 언급한 부분. 전 위안부분들의 대일소송판결이 국제법위반이라는 일본정부의 일관된 입장을 주장했다.자민당
GJ011420220118제208회 국회   하야시 외상 외교연설 2022년 초의 하야시 외상에 의한 국회외교연설 중   한국관련 내용. 한일관계를 건전한 관계로 되돌리기 위해 일본의 일관된 입장에 입각해 한국 측에 적절한 대응을 요구하고 전략적 대외홍보와   친일파·지일파 육성에 힘을 쓰겠다는 내용자민당
GJ011620220425임원회 후 모테기   간사장 기자회견2022년 4월 말경 윤석열 당선인 측 정책협의단이   방일하여 하야시 외상과 한일 의련 회원들을 만났다. 대표단장인 정진석 국회부의장이 강제징용문제와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는 해결이 한쪽의   노력만으로는 어렵다고 밝혔는데 이에 대한 모테기 간사장의 견해자민당